반응형

서론
투명 페트병은 무색·투명한 음료·생수병만 별도로 모아 전용 수거함에 넣어야 고품질 재활용로 이어집니다. 이때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이 우리 동네 전용수거함 위치 확인입니다. 다행히 환경부의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분리배출.kr)에서 현재 위치 기반 지도로 배출장소를 바로 찾을 수 있으며, 품목별 배출 기준은 ‘내 손안의 분리배출’ 공식 앱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두 가지를 조합하면 초보자도 3분 안에 정확한 장소와 방법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방법 A) 분리배출.kr 지도로 ‘전용수거함’ 바로 찾기(모바일·PC)
1단계. 지도 페이지 열기
- 주소창에 분리배출.kr → ‘지역별 분리배출 안내’ → ‘분리배출 장소(지도)’를 엽니다. 모바일도 동일 메뉴가 제공됩니다.
2단계. 위치 허용 후 주변 보기
- 상단의 ‘현 위치’를 탭(클릭)하면 현재 위치 중심으로 지도가 이동합니다. 화면 좌측 아이콘 목록에서 ‘무색페트병’을 선택해 필터링합니다.
3단계. 아이콘 의미 확인
- 지도에는 재활용품 분리배출함(무색페트병·종이·유리 등), 생활유해폐기물, 종량제봉투 판매소 등 종류별 아이콘이 제공됩니다. 무색페트병 아이콘만 켜두면 전용함 위치만 빠르게 볼 수 있습니다.
4단계. 이용 가능 여부 체크
- 지도 하단 주의문에 “공동주택 내 장소는 거주자 외 이용이 제한될 수 있음”이 명시되어 있으니, 표지판 안내를 확인하고 이용합니다.
5단계. 정보가 없을 때 대처
- 화면에 “우리 동네의 분리배출 장소 정보가 없어요.”가 표시되면, 인근 행정동·구 단위로 범위를 넓혀 검색하거나 지자체 청소행정과 공지 페이지를 참고합니다.
방법 B) ‘내 손안의 분리배출’ 앱으로 품목 기준 확인하기
지도에서 장소를 찾았더라도 무엇을 어떻게 넣어야 하는지는 앱으로 확인하면 더 정확합니다.
- 공식 앱 설치:
- Android: Google Play – 내 손안의 분리배출.
- iOS: App Store – 내 손안의 분리배출.
두 스토어 설명에 환경부·한국환경공단 등 공공기관이 운영하는 앱임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 사용 핵심: 앱 검색창에 ‘투명 페트병’을 입력하면 비우기→라벨 제거→찌그러뜨리기→뚜껑 닫기 등 절차와 대상/비대상 구분(음료·생수병만 별도 배출)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국소비자원 안내 페이지에서도 앱 활용을 권장합니다.

꼭 알아둘 기준(대상/비대상 & 배출 요령)
- 대상: 무색·투명한 음료·생수용 페트병으로, 전용수거함에 별도 배출합니다.
- 비대상: 유색 페트병, 일회용 투명컵, 과일 트레이, 세제·화장품 용기 등은 일반 플라스틱류로 분리합니다.
- 배출 4단계: 비우기 → 라벨 제거(비닐류로) → 찌그러뜨리기 → 뚜껑 닫아 전용함. 지방자치단체 공식 안내에서도 동일 절차를 권장합니다.
반응형